국내에서 피임약은 일반의약품이기 때문에 약사만을 거쳐서 소비자에게 전해집니다. 하지만, 피임약은 다른 일반의약품들과 비교해보면 부작용이나 복용시 주의사항이 좀 까다로운 편에 속합니다. 대부분의 경우 복합피임제를 먹어도 문제가 없지만, 복합피임제의 금기에 해당하는 경우 산부인과를 가볼 것을 권유하기 위해 피임법들에 대해 알고 있으면 좋을 것입니다.
아래에서 설명할 피임법들은 성병을 예방할 수 없습니다.
가역적 피임법의 장단점
에스트로겐-프로게스틴 복합 경구제 |
|
레보노게스트렐 자궁내장치 (hormonal IUD) |
|
구리 자궁내장치 (Copper IUD) |
|
프로게스틴 단일 주사 |
|
프로게스틴 단일 경구제 |
|
* 경구제의 경우 복용 후 2시간 이내에 구토를 하면 안 먹은 것과 같이 취급
피임을 시작하는 방법
피임법 | 시작 시점 (임신이 아닌 경우) |
추가적인 피임법 | 시작 전 검사 |
구리 자궁내장치 | 언제나 | 필요없음 | 내진과 자궁 검사 |
호르몬 자궁내장치 | 언제나 | 생리 시작 7일 후 → 7일 간 | 내진과 자궁 검사 |
이식제 | 언제나 | 생리 시작 5일 후 → 7일 간 | 없음 |
주사제 | 언제나 | 생리 시작 7일 후 → 7일 간 | 없음 |
호르몬 복합 경구제 | 언제나 | 생리 시작 5일 후 → 7일 간 | 혈압 |
프로게스틴 단일 경구제 | 언제나 | 생리 시작 5일 후 → 2일 간 | 없음 |
임신 가능성 체크리스트
임신의 증상이나 징후가 없으며, 다음의 기준에 하나라도 성립하는 경우 임신이 아닙니다. |
· 마지막 생리 후 성관계를 갖지 않음 |
· 믿을 만한 피임법을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하였음. |
· 평범한 생리 후 7일 이내. |
· 모유수유 하지 않는 경우 산후 4주 이내. |
· 낙태나 유산 후 7일 이내. |
· 모유수유 중 무월경이며 산후 6개월 이내. |
* 위와 비슷한 체크리스트는 연구 리뷰에서 소변검사와 비교하였을 때 음성예측도가 99~100% 일치하였습니다.
<참고문헌>
uptodate Apr 08, 2019
www.mayoclinic.org/tests-procedures/minipill/about/pac-20388306
www.mayoclinic.org/tests-procedures/depo-provera/about/pac-20392204
www.mayoclinic.org/tests-procedures/paragard/about/pac-20391270
www.mayoclinic.org/tests-procedures/mirena/about/pac-20391354
www.mayoclinic.org/tests-procedures/combination-birth-control-pills/about/pac-20385282
'약물치료 > 산부인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성 피임법의 종류; Contraceptive methods for women (0) | 2020.06.30 |
---|---|
자간전증; Pre-eclampsia (0) | 2020.04.09 |
응급피임법 후 추적 관리; Follow-up care of EC users (0) | 2020.04.08 |
응급피임약 복용 후 구토; vomiting after taking EC (0) | 2020.04.08 |
응급피임법(Ulipristal, Levonorgestrel, Copper IUD)에 대한 복약지도; Counselling emergency contraceptive users (0) | 2020.04.07 |